가상 환경
- 가상환경을 설정하는 이유는 프로젝트별로 독립된 패키지 환경을 유지하여 의존성 충돌을 방지하고, 일관된 개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.
-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대부분의 경우 가장 먼저 하는 작업이 가상 환경을 생성하고 실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
가상 환경 생성 방법
먼저 새 터미널을 만들어 줍니다. (vscode 기준 단축기 : ctrl + shift + `)
각 운영 체제에 해당하는 코드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가상 환경이 생성됩니다.
# window
python -m venv (내 가상 환경 이름)
# macOS/Linux
python3 -m venv (내 가상 환경 이름)
가상 환경 실행 방법
가상 환경을 생성했다면 가상 환경을 실행하고 작업을 진행합니다.
아래의 코드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가상 환경이 실행됩니다.
# window
.\(내 가상 환경 이름)\Scripts\activate
# macOS/Linux
source (내 가상 환경 이름)/bin/activate
가상 환경 종료 방법
# Windows/macOS/Linux
deactivate
'코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TP] PUT, DELETE 그리고 멱등성 (1) | 2024.09.05 |
---|---|
[HTTP] GET 그리고 POST (0) | 2024.08.22 |
[GitHub] 초보 개발자를 위한 .gitignore 작성 요령과 팁 (0) | 2024.08.20 |
[GitHub] Git과 GitHub (1) | 2024.08.17 |
[Python] ModuleNotFoundError (0) | 2024.08.15 |